섬유 진 소화, 심장 및 피부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혈당 조절, 체중 조절 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장 건강이 손상돼서 섬유질이 부족하면, 박테리아의 먹이가 될 수 있습니다. 고섬유질 식단을 먹기 전에 프로바이오틱스가 풍부한 발효 야채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섬유질이 우리 몸에 중요한 이유와 섬유질이 많은 음식이 뭐가 있는지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섬유질이 중요한 이유
실제로 우리 몸은 섬유질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오이, 블루베리, 콩 및 견과류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가용성 섬유는 젤 같은 질감으로 용해되어 소화를 느리게 합니다. 이것은 포만감을 더 오래 느끼는 데 도움이 되며 섬유질이 체중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짙은 녹색 잎이 많은 채소, 녹두, 셀러리, 당근과 같은 음식에서 발견되는 불용성 섬유질은 전혀 용해되지 않고 대변의 양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것은 음식이 소화관을 통해 더 빨리 이동하여 건강한 대변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많은 전체 식품, 특히 과일과 채소에는 자연적으로 용해성 섬유와 불용성 섬유가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섬유질 효능 9가지
섬유질이 건강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 보여주는 많은 연구가 있습니다.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먹을 때 효능을 볼 수 있는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혈당 조절
수용성 섬유질는 신체의 탄수화물 분해 및 당 흡수를 늦춤으로써 혈당 조절을 돕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당뇨병을 앓고 계신 분들은 어느 정도 혈당을 내릴 수 있습니다.
2) 심장건강 예방
섬유질 섭취와 심장마비 사이에 반비례 관계가 발견되었으며 연구에 따르면 고섬유질 식단을 섭취하는 사람들은 심장병 위험이 40% 더 낮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3) 뇌졸증 예방
연구원들은 매일 7g의 섬유질을 섭취할 때마다 뇌졸중의 위험이 7%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4) 체중 감소
다이어트에 성공하고 싶다면,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많이 먹으라는 얘기가 있습니다. 섬유질이 포만감을 증가시키기 때문인데요,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은 과체중의 체중 감소를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 피부 건강에 도움
섬유질이 많은 음식 중 하나로 일컬어지는 차전자피는 몸에서 효모와 곰팡이를 씻어내는 데 도움이 되어 여드름이나 발진을 유발할 수 있는 피부를 통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합니다.
6) 게실염 예방
불용성 섬유질이 많은 음식은 게실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게실염은 장의 폴립에 생기는 염증을 말하는데요, 이 게실염 위험을 최대 40%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7) 치질 및 변비개선
섬유질이 풍부한 식단은 치질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변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섬유질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일부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8) 담석 및 신장 결석
고섬유질 식단은 혈당 조절 능력 때문에 담석과 신장 결석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
성인 기준으로 하여 섬유질 권장량은 1,000칼로리당 최소 50g의 섬유질이 필요합니다. 섬유질이 많은 음식은 라즈베리, 브로콜리, 치아시드, 고구마, 차전자피, 아몬드, 강낭콩 같은 콩류에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마무리
여기까지 섬유질이 많은 음식 및 섬유질이 주는 효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여기서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지 말아야할 사람들도 있는데요, 소화관이 손상된 상태에서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먹게 되면 내장에 음식들이 혈류를 타고 들어가기 때문에 건강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건강한 장인 상태에서 섬유질 식단을 짜야 합니다. 또한, 과하게 섬유질을 많이 섭취하면 복통이라던가 더 나아가 설사까지 생길 수 있으므로 건강상태를 체크한 후에 섭취하시기 바랍니다. 포스팅이 도움되셨기를 바라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건강관리지식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듬 없애는법 총정리 (0) | 2022.01.08 |
---|---|
포스파티딜세린 효능 및 부작용 (0) | 2022.01.05 |
파파야 효능 10가지 총정리 (0) | 2022.01.03 |
베이킹소다 활용 10가지 (0) | 2022.01.02 |
스피루리나 효능 및 부작용 (0) | 2022.01.01 |
댓글